1)은하
수많은 별과 티끌, 가스가 중력으로 인해 결합해 있는 모임을 은하라 부른다. 태양계는 은하수라고도 하는 우리은하에 속해있다. 과학자들은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에는 1000억개 이상의 은하가 흩어져 있을 것이라고 계산했다. 천문학자들은 그중에서 수백만 개의 사진을 망원경으로 찍었다. 사진으로 찍은 은하 중에서 가장 멀리 있는 것은 100억 130ㅇ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은하의 지름은 수천 광년에서 50만 광년에 이르는 것까지 다양하다. 작은 은하에는 10억 개 미만의 별이 있지만, 거대한 은하에는 1조개 이상의 많은 별이 있다.우리 은하 외에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은하는 세 개뿐이다. 북반구에 사는 사람은 약 20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남반구에 사는 사람은 지구에서 약 16만 광년 떨어진 대마 젤란은하와 약 18만 광년 떨어진 소마젤란은하를 볼 수 있다.
2)은하의 무리
은하는 우주에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다.
어떤 것은 가까운 은하라고는 하나도 없이 홀로 떨어져 있는가 하면, 어떤 것은 쌍을 이루어 서로 공전하고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은하단이라는 집단의 형태로 발견된다. 은하단은 수백개에서 수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름은 보통 1000만 광년이나 된다. 은하단이 모여 다시 초은하단이라는 더 큰 무리를 만든다. 더욱 더 큰 규모로 보면 은하들은 거대한 그물 형태로 분포한다. 은하들로 이루어진 끈이 그물을 형성하고, 끈 둘레에는 비어 있는 공간이 있다.
3)은하의 모양
천문학자들은 대부분의 은하를 모양에 따라 나선은하나 타원은하, 불규칙은하로 나눈다. 나선은하는 중심이 볼록한 원반 형태로 바람개비처럼 생겼다. 밝게 빛나는 나선형의 팔이 볼록한 중심에서 바깥으로 뻗어 나와있다. 우리은하는 나선은하이다. 모든 나선은하는 마치 바람개비처럼, 그러나 느리게 회전한다. 예를 들어 우리은하는 2억 5천만년에 한번 공전한다. 나선은하에서는 티끌과 가스로부터 새로운 별이 끊임없이 탄생한다. 구상성단이라고 하는 별들의 작은 집단이 종종 나선은하 주변에 분포한다. 전형적인 구상성단은 대략 100만개의 별들로 이루어진다.
타원은하의 형태는 거의 완전한 공 모양에 가까운 것부터 납작하게 누른 공 모양까지 다양하다. 타원은하는 중심이 가장 밝고 주변부로 갈수록 점차 어두워진다. 천문학자들이 측정한 바에 따르면 타원은하는 나선은하보다 훨씬 더 느리게 회전하거나 아예회전하지 않는다. 타원은하 속에 있는 별들은 불규칙한 궤도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타원은하는 나선은하보다 먼지와 가스가 훨씬적다. 그래서 새로운 별이 생성되는 것도 거의 관찰할 수 없다.
불규칙은하는 일정한 모양이 없다. 어떤 것은 대부분 푸른별과 부풀어 오른 가스 구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티끌은 거의 없다. 마젤란은하가 이런 형태의 불규칙은하이다. 다른 것들은 주로 밝게 빛나는 젊은 별과 티끌,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
4)은하로 부터 나오는 에너지
모든 은하는 가시광선과 다른 형태의 전자기복사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은하에서 방출하는 에너지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생긴다. 이것들 중 대부분은 별에서 나오는 열과, 성운이라고 하는 티끌과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에서 나오는 열이다. 여러가지 형태의 격렬한 천문학적 사건이 일어날때도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나온다. 그 대표적인 예로 신성 폭발과 초신성 폭발이 있다. 신성폭발이 일어나면 쌍성을 이루는 두개의 별 중에서 하나가 티끌과 가스를 우주로 세차게 날려보낸다. 보다 훨씬 더 격렬한 초신성 폭발은 별 하나가 완전히 붕괴해서 가지고 있는 물질 대부분을 날려버린다.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후 그 자리에 블랙홀이라는 보이지 않는 작은 천체가 남을 수 있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강해서 빛조차 빠져 나올 수 없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후 그 자리에 중성자별이 생길 수도 있다. 중성자별은 중성자들이 단단하게 뭉쳐서 만들어진 별이다. 그러나 어떤 초신성은 폭발 후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
5)은하수
별과 가스 구름으로 이루어진 원반 모양의 우리은하를 맨눈으로 볼 때 흐르는 물처럼 보이는 별빛의 띠. 서양에서는 우유를 뿌린 것 같다고 하여 밀키웨이라 했으며, 중국에서는 한수의 기가 하늘에 올라갔다고 하여 은한이나 하한이라고 했다.
흐르는 강물처럼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는 지구 어디에서나 볼 수 이싿. 은하수는 수많은 별과 가스와 티끌이 모여 있는 곳으로써, 태양이 속해 있는 우리은하의 원반 부분에 해당한다.
'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생태계와 생태학 (0) | 2023.07.31 |
---|---|
맹수의 제왕, 밀림의 왕 사자는 어떤 동물일까? (0) | 2023.07.31 |
깊고 깊은 심해 속의 신비로운 이야기 (0) | 2023.07.28 |
신비로운 별에 대한 천문학 이야기 (0) | 2023.07.27 |
우주 속의 신비로운 별, 두번째 이야기 (0) | 2023.07.27 |
댓글